전운 감도는 동아시아…2020 한·중·일 삼국 수소전쟁 예고
전운 감도는 동아시아…2020 한·중·일 삼국 수소전쟁 예고
  • 조남준 기자
  • cnj@energydaily.co.kr
  • 승인 2019.12.30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의 기술력과 중국의 물량, 대처법은 수소차 핵심기술 개발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전 세계적으로 수소경제를 목표로 한 에너지 전환 정책이 펼쳐지면서 수소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시장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시장에서 수소경제 전쟁의 기운이 감지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수소 올림픽 깃발 올리는 일본

동아시아 3국 중 가장 먼저 수소경제에 주목한 나라는 다름 아닌 일본이다.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일본 전역에 원전 문제와 에너지 부족이라는 나비효과를 일으켰다.

이에 일본은 지난 2014년 ‘수소 연료전지 전략 로드맵’을 발표한 데 이어 ‘국가 에너지 기본 계획’을 통해 수소 사회를 실현할 것임을 공표했다. 지난해 7월에 발표한 '5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차 4만대, 수소충전소 160기를 설치하고, 2025년에는 수소차 20만 대, 수소충전소 320기로 확충할 계획이다.

일본의 현재 목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수소 올림픽으로 개최하는 것이다. 이미 역대 올림픽 최초로 성화대 및 성화봉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는 등 전 세계에 수소 에너지 선진국으로서의 이미지를 고취시킬 것이라고 알린 바 있다. 이번 도쿄올림픽이 성황리에 마무리되면, 2025년 오사카엑스포에서도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사회와 수소차, 수소경제가 연동된 모습을 보여줄 계획이다. 

◆중국 및 독일, 후발주자의 맹추격

한국과 일본의 등뒤를 바짝 따라오는 중국의 추격도 무섭다. 중국은 그동안 전기차 산업을 드라이브했었다. 하지만 전기차의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수소산업의 패권을 거머쥐고자 움직이기 시작했다.

현재 중국은 2025년까지 수소차 5만 대, 2030년까지 100만 대를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목표치보다 높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매년 10개 시범 도시를 선정해 3년간 1000대 규모의 수소차를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은 중국의 기업들의 연구개발(R&D)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만리장성자동차는 약 5억7000만 위안, 한화로 약 945억8500만원을 투자해 허베이성 바우딩시에 수소 에너지 연구개발 센터를 구축했다.

이와 더불어 중국 상하이자동차는 지난 2017년 첫 수소 승용차 ‘로위950’과 수소 버스 ‘맥서스FC80’을 선보였다. 둥펑자동차와 정저우위퉁 등의 기업들도 수소차 버스 또는 트럭을 제작하고 있다. 올해에는 광저우자동차가 수소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소개했다.

◆한국, 안전․인프라․소재 개발(R&D)이 급선무

한국 정부는 올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수소에너지를 차세대에너지로 적극 육성해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서울 등 각 지자체는 수소차 보조금을 확대 지원을 약속하고, 가스공사 및 지역난방공사 등 각 에너지기관들은 ‘수소경제 추진 로드맵’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어 지난 10월 15일에는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고 경기 화성시에 있는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자동차 비전선포식’을 가졌다.

이날 선포식에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신차 판매 비중을 33%까지 끌어올려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수소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는 아직 많이 남아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가장 먼저 지적된 문제는 바로 인프라다. 수소차 수를 늘려도, 수소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가 부족하면 제품의 수요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수소차 구매 예정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이 바로 수소 충전 인프라의 부족이다.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팔린 수소차는 모두 3,300여 대지만 전국 충전소는 31곳에 불과하다. 서울에 있는 충전소는 총 3곳이며, 대구와 강원도, 제주도에는 충전소 자체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최근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앞으로 3년 안에 전국에 총 310기의 충전소를 만들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소유통센터’를 구축해 현재 1kg에 8,000원 수준인 수소 가격을 2022년에는 6,000 원, 2040년에는 3,000 원까지 낮출 계획이다.

◆수소경제 육성, 키워드는 원천기술

현재로서는 일찌감치 수소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개발을 시작한 일본 등과의 기술 격차를 따라잡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재정 및 규제 완화를 포함한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 당초부터 지적됐던 안전성과 가격 절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관련 기업은 원천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최근 스위스의 수소 저장·압축 기술 기업 'GRZ 테크놀러지스'와의 업무협력을 맺는다고 밝혔다. 저압 수소저장 기술과 수소압축・충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GRZ 테크놀러지스'와의 기술협약을 바탕으로 국내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은 물론, 수소충전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추출기 제조기업 제이엔케이히터는 하임리움산업과 업무 협약을 맺고 각각 수소생산과 수소 액화 및 저장 부문으로 업무를 분담하기로 했다. 제이엔케이히터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원천기술을 결합해 수소산업계의 높은 해외 장비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제품 사용을 권장할 것이라 전했다.

이와 더불어 안전성과 효율성에서 미래 수소저장방식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고체수소저장소재에 대한 연구 또한 업계의 눈길을 끌고 있다.

EG는 지난 2015년부터 정부 국책과제에 선정돼 수소차량용 고체수소저장소재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EG의 고체수소저장소재가 상용화가 되면, 수소차의 안전성과 공간 활용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EG 관계자는 "고체수소저장소재를 이용한 수소저장기술의 상용화는 기존 기체 저장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인 공간 활용성을 가져온다"며, "뿐만 아니라 고용량의 수소를 저장하는 한편, 안전성 향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