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중국의 호주산 에너지·자원 수입 제재 동향
[초점]중국의 호주산 에너지·자원 수입 제재 동향
  • 조남준 기자
  • cnj@energydaily.co.kr
  • 승인 2020.09.04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중 무역갈등…수입규제, 호주산 에너지자원 분야 확대되나
전문가 “中, 호주 의존 주요 에너지분야 추가제재 가능성 낮아”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최근 중국의 對호주 수입제한 조치(보리, 소고기, 와인)로 호-중간의 무역갈등이 점증되면서 향후 중국의 수입규제 조치가 호주산 에너지자원 분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교부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GECC)가 최근 발간한 ‘중국의 호주산 에너지자원 수입 제재 관련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호·중 갈등 심화로 중국의 對濠 수입제재 조치품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에너지·자원 업계 및 시장전문가들은 중국이 호주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주요 에너지·자원 원자재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은 낮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석탄과 같은 일부 품목의 경우, 직접적인 수입규제 조치를 취하지는 않더라도 중국이 호주와 경쟁관계인 여타 수출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수입량을 대체함으로써 호측을 압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호주와 중국의 LNG, 철광석, 석탄 등 에너지 분야에 대한 주요 전문가의 의견 등을 소개한다.

■ LNG, 도입 비중 상당량 줄일 가능성 존재

중국의 일부 에너지 전문가들은 호주와 중국간 외교관계 냉기류가 지속될 경우, 중국이 현재 크게 의존 중인 호주산 LNG 도입 비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9~2020 호주 회계연도 중국의 호주산 LNG 수입량은 2930만톤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장기계약 물량 비중은 65%인 1910만톤으로 대부분의 물량을 호주 동부 2개 LNG 프로젝트(APLNG-SINOPEC(중), QGC-CNOOC(중) 참여)를 통해 도입 중이다.

Lin boqiang 샤먼대학 에너지정책연구 학과장은 “높은 불확실성과 자본집약도 등 LNG 프로젝트의 특성상 대부분의 에너지 기업들은 무역분쟁 위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종종 자국 정부와 무역분쟁 대응에 있어 동일한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며 “이에 따라 현재의 호·중 관계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경우 중국 기업들이 호주산 LNG 수입을 상당량 줄일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Han Xiaoping China5e.com 수석연구원은 “장기 에너지 도입계약 체결은 원만한 외교관계와 확고한 정치적 상호신뢰를 요구하나 호·중 양국 관계의 실상은 이와 상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Han Xiaoping 수석연구원은 또 “향후 5년간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중국의 LNG 수요는 두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은 정치적 유대관계가 강력한 러시아로부터 LNG 수입량을 늘리며 호주산 LNG 수입을 대체 중”이라며 “이는 중국 기업들이 향후 새로운 호주산 LNG 도입계약을 체결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호주가 중국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화웨이의 호주 5G 시장 진출금지 등과 같은 정부개입 사례를 지목했다.

가스 분석가인 Joyce Liu(Sublime China Information Co)는 “일부 중국 기업들이 호주 LNG 공급업체들과 원만한 관계 유지를 원하나 양국 갈등 지속시 자국의 이해관계를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3년간 약 12% 증가가 예상되는 중국의 LNG 수입증가량을 러시아, 카타르 등 호주의 경쟁국으로부터 충당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중국 기업들의 호주산 LNG 장기 구매계약 체결은 호주의 對中 정책에 달려있다는 견해다.

반면 S&P Global Platts, WoodMackenzie, Fitch Ratings 등 글로벌 시장조사·평가기관들은 호·중 갈등의 여파가 호주 LNG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석탄, 소비재 등에 비교적 낮고 제한적인 수준일 것 으로 예측했다.

S&P Global Platts는 LNG 공급계약 특성과 에너지 안보측면에서 중국이 호주산 LNG에 대한 제재를 가하지는 않더라고 다른 민감 교역품목 제재를 통해 호주의 업계와 정치권간의 분열을 시도할 수 있다고 봤다.

WoodMackenzie는 미국산 LNG 수입량 등 증가로 중국 LNG 수입량 중 호주의 비중이 소폭 감소하기는 했으나, 이는 LNG 현물가격 하락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되며, 호-중 양국간 LNG 장기공급계약 물량과 도입 비중을 근거로 볼 때 중국의 對濠 LNG 수입제재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철광석, 수입검역 신규 규칙 시행…수입 제재 조치 일부 견해

중국의 철광석 수입검역 신규 규칙 시행이 지난 6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는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호주를 겨냥한 수입 제재 조치로 보는 일부 견해도 나오고 있다.

수입검역 신규규칙은 철광석 구매자(중국기업)의 요청시 中검역당국이 수입산 철광석에 대한 품질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기존의 무작위 의무검사를 대체한 것이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이 호주산 보리에 대한 관세 부과 수일 후 이번 신규 규칙이 시행됐다며 이를 중국이 호주에 보내는 미묘한(subtle) 메시지라고 해석하고 있다.

반면, 대다수의 업계 및 정부 관계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반대하고 있다.

광업계 관계자들은 동 규칙개정에 대해 중측으로부터 지난해 10월 통지를 받았고, 이 규칙은 모든 원산지 철광석에 적용되고 기존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운반선이 검사를 받게 되므로, 물류 처리 속도를 높여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Simon Birmingham 호주 연방 통상장관도 철광석 통관수속을 간소화하는 행정개선방안으로 이를 환영하고, 행정장벽 완화 및 비용경감은 중국 시장의 추가 개방에 대한 긍정적인 예라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이 해외 철광석 도입 확대를 위해 초대형 운반선 정박이 가능한 산둥성의 르자오(Rizhao), 옌타이(Yantai), 란산(Lanshan) 등 3곳과 푸젠성의 닝더(Ningde) 1곳 등 항만 4곳을 올해 개항 후 지난달 초 브라질산 철광석을 운반한 초대형 선박이 첫 정박을 시작하며 운항을 개시한 것을 두고, 중국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철광석 공급처를 확보하려는 행보라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중국은 총 11개 항에서 초대형 철광석 운반선(최대 40만톤)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를 통해 브라질, 아프리카 등으로 부터 철광석 도입량 증대가 가능해졌다.현재 호주산 LNG 운반선은 최대 25만톤 선적 가능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초대형 운반선 정박가능 항만 증설을 통한 브라질, 아프리카산 철광석 도입물량 증대가 호주의 對中 철광석 수출에 단기적으로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았으나, 3∼5년 후부터는 영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Tony Abbott 前 호주 연방총리는 호주의 최대 철광석 수입국인 중국이 (서)아프리카 지역으로부터 철광석 도입을 증가시킬 경우, 호주가 이에 특별히 취약(particularly vulnerable)하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 석탄, 中 보호주의적 석탄 정책

Michael McCormack 호주 연방부총리는 중국의 보호주의적 석탄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Birmingham 연방 통상장관 및 외교 관계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지난 5월 말 언급한 바 있다.

호주 주요 일간지들은 지난 5월말 중국 국영 발전사들이 국내 석탄가격이 호주산 석탄 대비 현저히 높음(40∼60%)에도 불구, 中정부 방침에 따라 국산을 구매 중이라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Ivan Glasenberg 글로벌 원자재 기업 Glencore社대표는 “호·중 갈등고조 양상이 호주의 對中 석탄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양국이 외교관계 회복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의 호주산 발전탄 수입 제재는 국제시장 내 수요 감소로 이어져 석탄가격 하락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는 中의 호주산 제철탄 통관지연과 더불어 호주 석탄업계에 우호적인 상황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예시로 제시했다.

보호주의적 정책과 더불어 △수입석탄 검역 강화·지연, △他수입처 도입물량 증대(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등을 두고 중국의 對濠압박 조치로 보는 견해도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위 언급된 일련의 석탄 정책이 호주에 대한 보복 조치가 아니라 자국 석탄 산업 보호, 수입산 석탄 품질관리 차원의 검역 강화, 도입처 다변화를 위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