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 부족으로 제주도 풍력발전 전기가 버려지고 있다”
“계통 부족으로 제주도 풍력발전 전기가 버려지고 있다”
  • 변국영 기자
  • bgy68@energydaily.co.kr
  • 승인 2020.10.15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월 제주 풍력발전소 제약발전량 1만3166MWh… 누적 23억원 손해 야기
재생에너지 계통 수용 한계량 590MW… 8월 기준 제주 재생에너지 설비 600.3MW
발전사들 재생에너지 제약발전으로 인한 손실 보상도 받지 못하고 고스란히 떠안아
김성환 의원 “육지송전망 확대뿐만 아니라 기존 송전선도 역송에 이용해야”
발전량 초과 시 기저발전에 대한 재생에너지 발전 우선순위 확립해야

[에너지데일리 변국영 기자]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설비가 계통 수용성 부족으로 발전기를 강제로 멈춰 세우는 이른바 ‘제약발전’으로 인해 버려지는 풍력발전량이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 의원(서울 노원병)은 15일 한국전력거래소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제주지역에서 멀쩡하게 돌아가는 풍력발전소의 전기를 버린 양이 1만3166MWh에 달했다”며 “제주도의 풍력발전을 강제로 중지하는 횟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현상은 전력거래소의 계통운영 능력 미흡에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도와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제주 계통이 수용가능한 재생에너지 한계량은 최대 590MW로 추산된다. 지난 8월 기준 제주에 보급된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600.3MW로 이미 최대운전가능량을 초과한 상태다.

김성환 의원
김성환 의원

김성환 의원은 “현재 가동 중인 풍력발전소의 발전량도 버거운 운영 수준으로 앞으로 지어질 풍력발전소는 어떻게 감당하려는지 의문”이라며 제주 계통 내 재생에너지 수용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재생에너지 제약발전으로 인해 발전사들이 입는 손실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올 한해 발전사들이 강제 제약발전으로 인해 입은 손실은 주택용 전기요금(93.3원/kWh)으로 추산 시 12억원에 달하고 2015년부터 누적하면 23억8000만원까지 늘어난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석탄·LNG와 같은 발전기들은 예상발전량에 실제 발전량이 미치지 못하였을 때 제약비발전정산금을 통해 손해의 일정액을 보상받고 있다. 덴마크 등 해외에서는 재생에너지의 출력제한 시 손실을 보상하는 제도가 마련돼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러한 제도가 없어 발전사들은 아무런 보상 없이 출력제한을 강요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성환 의원은 “전력거래소 계통운영능력 부족으로 인한 손해를 고스란히 발전사가 떠안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의 에너지 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은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육지송전망 확대(제3고압직류송전선 사업)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계획대로라면 2022년 말 개통될 제3송전선은 물론 현재까지 본 계통에서 제주계통 방향으로만 운영되던 기존 송전선까지도 역송에 이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앞으로 제주에서 늘어날 재생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본계통 송전은 급한 불끄기일 뿐 제주계통 내에서 재생에너지시대에 맞는 계통운영능력을 마련하는 것이 본질적 해결”이라고 주문했다. 이를 위해 발전량 초과 시 기저발전에 대한 재생에너지 발전의 우선순위를 확립하고 계통 내 재생에너지의 운전영역을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김성환 의원은 “전력거래소가 계통 안정성만을 고려하다 재생에너지의 확대 여지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다”며 해외의 성공적인 계통운영 사례를 비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13개국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선진국들은 계통혼잡 발생 시 재생에너지원의 우선권을 보장해 출력제한 시 재생에너지를 가장 후순위에 두도록 하고 있다. 태양광·풍력발전 비율이 40%가 넘는 덴마크에서는 2014년 단 한 번의 출력제한도 없이 계통을 운영한 사례가 있다.

또한 김 의원은 ESS·P2G(수전해수소)와 같은 에너지 저장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주문했다. 에너지 저장장치는 발전량 초과 발생 시 출력제한 대신 저장 후 피크타임에 방출하는 유연성 전원으로 기능해 육지로부터 수전량이나 LNG발전을 줄일 수 있으며 재생에너지로 인한 주파수 안정성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김성환 의원은 “현재 설치된 재생에너지 연계형 ESS가 재생에너지의 계통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본래의 취지대로 운영되기보다는 싼 전기를 충전하고 비싸게 파는 REC 수익용으로 변질된 경우가 있다”며 이에 대한 규칙 개정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성환 의원은 “우리나라의 에너지믹스 상 경직성 전원인 원전과 기동시간이 느린 석탄화력의 비중이 커 계통 안전성 문제에 취약하다”며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OECD 최하임에도 불구하고 제주에서 일어나는 계통운영 문제가 불과 5년 내 본계통에서도 시작되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측”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전 세계적 재생에너지 확대 기류와 한국판 그린뉴딜로 재생에너지 보급은 피할 수 없는 미래인데 이에 대한 대비 없이 발전소 전원을 껐다 켰다만 반복한다면 전력거래소는 알맹이 없는 껍데기일 뿐”이라며 “재생에너지 수용 확대를 위한 종합대책을 산업부, 제주도, 한전, 전력거래소가 함께 머리를 맞대서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도별 제주 풍력발전 출력제어 발생 추이>

구분

’15

’16

’17

’18

’19

’20.8
(현재)

출력제어횟수

3

6

14

15

46

45

제어량(MWh)

152

252

1,300

1,366

9,223

13,166

풍력전체발전량(MWh)

352,183

470,576

542,525

540,073

556,999

391,309

제어비중

0.04

0.05

0.24

0.25

1.66

3.3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