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혁명 - 홈 네트워크 현주소와 전망
생활혁명 - 홈 네트워크 현주소와 전망
  • 에너지데일리
  • webmaster@energydaily.co.kr
  • 승인 2001.01.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세기 생활이 바뀐다.

컴퓨터와 초고속 통신망의 구축, 인터넷 보급으로 직장에서 가정까지 인터넷 문화가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 기반 통신망의 확산은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려는 소비자의 욕구와 변화의 물결을 타고 '홈 네트워크'라는 또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가정 안에서의 모든 정보 가전기기를 연결, 제어하고 관리할수 있으며, 외부와 통신까지 가능한 진정한 홈 네트워크 시대가 다가온 것이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란 무엇이며, 홈 네트워크의 현주소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편집자주>






홈네트워크란 무엇인가?



▶홈 네트워크의 개요



홈 네트워크란 인터넷 가전, 디지털VCR, DVD플레이어, 보안장비 등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디지털 전자제품을 원력으로 제어 통합하는 기술을 말한다.

지난 1980년대 홈 오토메이션에서 시작된 이 시스템은 통신, 영상, 방범, 방재, 원격제어 기능을 기본으로 홈 오토메이션 시장을 형성했으나 사용하기가 어렵고 고가인 관계로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현재는 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정의 모든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편리함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가전기기의 고장이나 오류 등은 자동으로 서버를 통해 A/S를 신청하고, 냉장고에 음식이 없으면 스스로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는 등 IT주택으로서의 주거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홈 네트워크의 목적과 전송기술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 기기간 멀티미디어 정보 공유, 상호 제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근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또한 가정 내 모든 기기들을 통합시키고 디지털 전송을 통한 고품질 정보를 제공한다.

홈 네트워크의 전송기술은 유선과 무선 2가지 기술로 분류된다.
우선 유선에는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FireWire (IEEE1394) 3가지 기술이 있으며, 무선은 Bluetooth, IrDA (Infrared DataAssociation),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무선 LAN 4가지 기술이 있다.

이 중 유선의 HomePNA는 일반 전화선을 이용해 2대 이상의 컴퓨터나 주변 장치 및 네트워크 장비들을 접속할 수 있는 가정용 네트워크로 하나의 네트웍에 최대 25대의 컴퓨터나 주변장치가 접속 할 수 있다.

네트웍 게임, 가정내 파일과 인터넷, 프린터를 공유하고,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무선 Bluetooth는 무선을 이용한 각각의 디지털 장비간에 음성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지난 1998년 에릭슨, 인텔, 노키아, IBM, 도시바 등 5개사가 무선 데이터통신 기술을 공동개발하면서 붙인 프로젝트 이름이다.

전세계 어디에서든 단일장비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모든 통신환경을 일원화시켜 뜻을 포함하고 있다.특징으로는 가정이나 사무실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트, 휴대폰, PDA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을 물리적인 케이블 접속 없이 무선으로 연결해주며, 확산기술로 전파를 송수신해서 잡음이 많은 무선주파수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홈 네트워크의 현주소




▶홈 네트워크 어디까지 왔는가?



홈 네트워크는 시작단계다.
인터넷이 기업에서 가정으로 확대된 시간이 짧기 때문에 xDSL이나 케이블모뎀 같은 인터넷 회선이 설치되고, 웹 TV같은 인터넷 접속장비와 디지털 TV가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은 보급단계가 아니다.
수요도 작고 프로토콜 표준화도 미비하며 가격이 비싼데다 호환성도 떨어진다.

하지만 세계적인 네트워크 회사들이 홈 네트워크를 목적으로한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프로토콜 개발과 표준화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있어 홈 네트워크의 미래가 멀지 않았다.
현재 홈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전송매체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전화선을 이용해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xDSL과 CATV망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전력선을 통해 인터넷을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됐고, 국내에서도 얼마 전에 전력선 인터넷 기술을 개발했다.
외국에서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연말쯤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고 한다.

▶사이버아파트:(주)테크노빌리지



테크노빌리지는 아파트라는 공동주거환경과 홈 네트웍, 차세대 멀티미디어 웹 서비스 생활 컨텐츠 서비스 등 첨단 기술을 접목,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미래형 주거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20개 건설사와 통신, 멀티미디어 및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8개 벤처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설립됐다.

현재 테크노빌리지(대표이사 장흥순, 김광수)는 지난 10월 27일 입주를 시작하는 금호동 대우 아파트 1689세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대규모 일반 아파트에 적용돼 입주하는 것은 금호동 대우 아파트가 최초였다.

테크노빌리지가 선보이는 서비스는 인터넷 TV, 홈 안전시스템, 홈 자동화, 각종 방송 시청, 원격 감시 시스템, 초고속 인터넷 접속 등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다.

인터넷 TV는 별도의 셋탑 박스 없이 일반 TV를 통해 웹 서핑이 가능하므로 주부, 어린이 등 인터넷 소외 계층도 TV보듯이 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홈 안전시스템은 각종 센서 부착으로 비상 상황 시 통보 기능을 해준다.원격 감시 시스템은 지하 주차장, 어린이 놀이터, 엘리베이터 내부 등 안전 취약 지구에 대한 무인 감시로 365일 24시간 안심할 수 있는 생활 공간을 제공해준다.

이 외에 일반 지상파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TV 등 각종 방송을 별도의 셋탑 박스 없이 수신할 수 있다.
향후 테크노빌리지는 입주민이 주체가 되는 디지털 피드백 루푸(Digital Feedback Loop)를 통해 서비스 질을 개선시킬 것이며, 새로운 개념의 온라인 오프라인 상점인 테크노빌리지 지역 포스트 등 기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홈 네트워크를 통해 본 미래생활



2003년 2월5일. 21세기 부엌에선 주부가 메뉴로 고민할 필요가 없다.냉장고에 달린 인터넷 단말기를 통해 식품회사에 추천식단을 부탁한다.
잠시 후 가족 개개인의 건강상태에 맞는 메뉴와 조리법이 화면에 떠오르고, 재료를 담아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자동으로 조리를 해준다.화장실은 이미 건강관리센터로 변해있다. 변기에 앉아 있으면 체중과 체지방률, 당뇨치 등이 자동 측정되며, 측정치는 단골 병원으로 전송된다.병원은 이 수치를 토대로 최적의 식단과 운동법을 처방해준다.
또한 집과 멀리 있는 회사로 출근할 필요가 없다.
거실옆 집무실은 광섬유망이 가정까지 부설돼 재택근무 환경이 완벽하게 갖춰졌다.PC앞에 앉아 업무를 보면서 필요하면 화상회의까지 갖는다.외국어 음성통역기술로 영어를 못하는 사람도 웬만한 의사소통은 가능해진다.일을 마친 후 여행을 가기로 결정한다. 여행 티켓을 사러 외출할 필요가 없다.
휴대전화 크기만한 개인 정보단말기에 예약정보가 전송돼 티켓을 대신한다.
여행을 가기로 한 장소는 거실의 디지털TV를 통해 여행사 홈페이지에 접속, 장소를 클릭하면 현지 정보가 생생한 동화면으로 떠오른다.

홈네트워크 실현화를 위한 과제



얼마 전 국내에서도 인터넷 기능을 갖춘 냉장고가 선보였지만 당장 적용하기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첫째는 표준화다.
홈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 표준화와 그에 따른 제품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는 안정성이다.
다양화되는 홈 네트워크는 분명 거대한 네트워크가 될 것이며 수요에 맞는 속도와 안정성만이 홈 네트워크를 유지시킬 것이다.
세 번째는 비용을 들 수 있다.
초고속 인터넷 사용에 드는 비용은 홈 네트워크의 대중화를 막기 때문에 설치 당시부터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 수요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애플리케이션과 다양성, 확장성 등이 마련돼야 한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면 진정한 21세기 홈 네트워크 생활은 멀지 않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