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셰일가스’ 한국에 위기이자 기회
[분석]‘셰일가스’ 한국에 위기이자 기회
  • 남형권 기자
  • namhg@energydaily.co.kr
  • 승인 2012.07.11 2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스 화학제품화 등 장기적 R&D투자 필요

'제2의 석유'로 불리는 셰일 가스(Shale Gas)가 시추기술 발전 덕분에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제2의 산업 혁명을 촉발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셰일가스가 주는 새로운 기회를 우리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셰일가스(Shale Gas)는 모래와 진흙이 굳어진 암석(셰일) 안에 있는 천연가스의 일종으로 19세기에 처음 발견됐다.

기존의 수직 시추로는 생산이 어려워 방치되다가 10여 년 전부터 수평 시추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제성을 인정받아 최근부터 생산되기 시작했다.
전세계 매장량은 187조㎥로 인류가 약 60년간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이다. 셰일 가스는 전 세계 지하에 골고루 분포돼 있으며, 국가별 매장량 비중은 미국과 캐나다, 중국이 각각 19%로 가장 많다.

셰일가스의 가장 큰 장점은 싼 가격이다. 생산비용은 100만BTU당 6달러이하로 원유환산시 배럴당 약 35달러에 해당한다.

중동산 액화천연가스(LNG)가 현재 ㎥당 17달러 내외인 것에 반해 셰일가스는 12달러 안팎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석탄의 3분의 1 정도다.

또한 셰일가스는 메탄 70~90%, 에탄 5%, 콘덴세이트가 5~25%로 이중 메탄올은 난방 연료 및 발전용, 에탄은 삭유화학 원료, 콘덴세이트는 LPG 및 석유화학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세계 각국이 셰일 가스 개발에 발 벗고 나서고 있는 이유다.

셰일가스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미국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올해 연두교서에서 미국은 앞으로 100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인 셰일 가스를 가지고 있다고 선언했다.

미국은 이미 전체 가스 소비량의 30% 이상을 셰일 가스로 충당하고 있다. 그 덕분에 기존 액화천연가스 소비자 가격은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따라서 2030년까지 천연가스 비중을 12%로 낮추려는 우리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셰일가스 개발로 국제 산업구조 변화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무엇보다 석유화학 산업이다. 향후 주요 매장국인 미국과 중국의 화학 산업 부흥이 당연시되고 있다.

이는 동시에 국내 화학기업들이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는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다.

저가 원료 사용으로 북미의 높아진 원가 경쟁력과 비교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경쟁 열위 및 수익성 악화로 인한 신규투자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장기적으로 국내 화학산업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지면서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

국내 석유화학기업은 대부분 석유원료에 의존하고 중국 수출 구조로 돼있으며,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경쟁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는 2015년부터는 중국도 셰일가스 기반 설비를 확대, 자급화가 진전될 전망이다.

LNG선박을 만드는 조선업계와 플랜트 건설사들은 수혜가 예상되지만, 태양광 등 대체 에너지 시장은 된서리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석유기업들이 미국 셰일가스를 직접 활용하는 방안으로 미국 내 에탄 크래커 설비를 인수하거나 신설하는 등 현지 사업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또한 자본력과 우수한 설비기술을 이용해 해외 가스전 개발에 직접 나서거나 현지 석유화학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 아이템을 고민해야한다는 것.

아울러 고기능성 폴리올레핀을 제조하는 등 나프타를 이용해 경쟁력있는 다운스트림을 전개할 필요도 있으며, 집약된 화학전환기술과 연계된 미활용 셰일가스전 개발사업에 진출하는 것도 하나의 대응방안이라는 설명이다.

산업화가 늦어지면서 석유자원 확보에는 우리가 뒤쳐졌지만, 셰일가스 확보에는 그 같은 전철을 다시 밝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국내 기업의 효율적인 셰일 가스전 활용을 목적으로 가스의 화학제품화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장기적인 R&D투자도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