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수력 현대화 5조 규모사업 … 15~30Mw급 국산 수차 개발시급“
“북한수력 현대화 5조 규모사업 … 15~30Mw급 국산 수차 개발시급“
  • 송병훈 기자
  • hornet@energydaily.co.kr
  • 승인 2018.10.18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 수력 48% 40년 이상 경과 노후 수력..향후 20년간 5조 사업’
박정 의원 ‘북한 수력 15~30Mw급, 국산 수차 10~15Mw급 머물러’

[에너지데일리 송병훈 기자] 북한 수력 발전소의 주력은 15~30Mw급인데 비해, 국산 수차 기술은 10~15Mw급에 머물러 있어 향후 5조원 규모의 북한 수력산업 현대화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수력 발전의 핵심 장비인 수차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은 18일 한수원과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의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수력 발전 용량은 약 4701Mw 정도로 파악되고, 이중 절반에 가까운 2265Mw (48.2%)의 발전이 40년 이상된 노후수력 발전소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발전소로 따지면 제원이 파악된 63개소 중 33개소가 이에 해당돼 현대화를 위해서는 향후 향후 20년간 5조원 규모가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다.

박정 의원은 남북 경협이 본격화될 경우 필수적으로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노후된 북한 수력발전소를 현대화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밝혔다. 특히 발전소 인근 지역의 지하자원 개발과 연계할 경우 사업비 확보도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수력현대화 사업 경험이 있는 한수원의 실적을 토대로 계산하면 북한 노후 수력 현대화는 MW당 평균 약 10억원 내외의 사업비와 호기당 36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전체로 따지면 약 5조원 가량(4,701Mw×10억원)의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20년간 나누어 사업을 진행하더라도 매년 2500억원 가량의 사업이 가능하다.

그런데, 현재 국내 수력발전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서 크게 미흡한 수준이라는 게 박의원의 지적이다. 특히 발전의 주기기 제작 분야가 뒤쳐진다. 국내 수력산업은 규모가 작은 10㎿ 이하 소수력에 집중되어 있고, 중․대형 수력은 일본, 유럽 등 해외제작사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중대수력 기자재는 두산중공업이 Alstom과 라이센싱으로 제작하여(원천 설계기술 없음) 공급했으며, 소수력 기자재는 대양수력, 신한정공 등 중소기업이 공급하고 있다.

특히, 15MW 이상급 중대수력용 수차발전기의 경우 수력설계, 구조설계, 제작기술 등 원천기술 미확보로 북한 수력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상태다. 주기기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나머지 부품은 중소기업이 맡을 수 있어 자연스럽게 수력발전 산업이 함께 발전할 수 있게 된다.

수력 발전을 담당하고 있는 한수원이 2012년부터 4년간 정부 지원금 120억원을 포함, 총 265억원의 연구비를 들여 15㎿급 프란시스 수차 국산화 기술개발에 성공했으나, 북한의 주력 설비인 15MW ~ 30MW급 기술 개발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수력시장은 연평균 11%씩 성장하며, 시장규모는 연간 9조6000억원에 달한다. 2018년 현재 전 세계 수력발전 용량은 1,254GW이며, 2030년에는 1689GW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 의원은 “북한 수력발전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15㎿~30㎿ 프란시스 타입 수차발전기 및 30㎿~40㎿ 펠톤수차 국산화기술 개발추진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남북 전력특성 비교>

항 목

남 한

북 한

설비용량 ()

비율(%)

설비용량 ()

비율(%)

수 력

107,720

6,489

6.0

7,661

4,701

61.4

화 력

78,702

73.1

2,960

38.6

원 자 력

22,529

20.9

-

-

주파수 (Hz)

송전전압 (kV)

60Hz

765/345/154

60Hz (중국, 러시아는 50Hz)

220/110/66

출처 : ()한국전력 ‘17년 자료, ()통일부 ’16년 자료

북한 주요 수력발전소 현황

발전소

설비용량

(kW)

준공연도

소재지

비고

강계청년

22.46

1963~1964

자강 장강군

유역변경식

남강

4.5(4.5×1)

1994

평양 강동군

 

내중리

1.2

‘60년대 초

양강 풍상군

 

대동강

13.5 (4.5×3)

1983

평남 덕천시

 

미림갑문

2.4 (0.8×3)

1983

평양 사동구역

 

봉화갑문

1.0 (0.25×4)

1983

평양 강동군

 

부령

3.2

1940~1960

함북 부령군

 

부전강수력

20.37

1930~1960

함남 신흥군

유역변경식

삼수

5 (2.5×2)

2007

양강 삼수군

 

서두수(317)

51

1972~1982

함북 청진시

유역변경식

수풍

120.0 (10×8+40)

1941~1994

평북 삭주군

북중공동운영

안변청년

32.4

1996~2004

강원 안변군

유역변경식

어랑천1

6

2007

함북 어랑군

 

영원

9.0(4.5×2)

2009

평남 영원군

 

예성강1

4

2008

황북 토산군

 

운봉

40(10×4)

1974

자강 자성군

북중공동운영

원산청년

6

2009

강원 법동군

유역변경식

위원

39(6.5×6)

1990

자강 위원군

북중공동운영

장자강(독로강)

8.1(2.7×3)

1959

자강 만포시

 

장진강

34.7

1936~1963

함남 영광군

유역변경식

천마

1.2(1.2×1)

1967

평북 천마군

 

태천

40

1988~2006

평북 태천군

유역변경식

태평만

19

1987

평북 삭주군

북중공동운영

통천

1.7

1933~1957

강원 통천군

 

허천강

33.54

1940~1943

함남 허천군

유역변경식

흥주청년 1,2,3

1.5

1999~2016

자강 중 군

 

백두산선군청년1

7.4

2015

양강백암군

 

희천1.2

30

2012

자강 희천시

유역변경식

기 타

20.1

금강, 라선청년, 성천강, 금야강, 만포연하 등

중소형수력

합 계

559(470.1)

북중 공동운영 발전소(수풍,태평만, 운봉, 위원)

설비용량 50% 만 반영 (470.1)

제원이 파악된 발전소는 기타를 제외하고 희천1·2 등 총 63개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