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전세계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에너지전환’ 서두르고 있다
[초점] 전세계가 기후변화 대응 위해 ‘에너지전환’ 서두르고 있다
  • 변국영 기자
  • bgy68@energydaily.co.kr
  • 승인 2018.11.27 18: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 시스템 전환 국가적 차원서 계획·실행… 예산 증액 과감한 투자

[에너지데일리 변국영 기자] 많은 국가들이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국가적 차원에서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다.

중국국가재생에너지센터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장려하기 위해 발간한 ‘에너지 전환 트렌드 2018 보고서’에 따르면 파리협정 이후 처음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온도 2°C 이상 상승 억제와 1.5°C 이내 수준 유지 노력에 동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EU

기후변화 대응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14∼2020년 기후변화 관련 예산의 20%(1800억 유로)를 지출하기로 협의했다. 지난 2009년 10월 유럽 이사회는 1990년 수준에 비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80∼95% 감축한다는 장기 목표를 설정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 지난 2016년 11월 유럽 의회는 EU 에너지 전환 목표 2030의 전략적 운영을 위해 ‘겨울 패키지’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유럽인을 위한 청정에너지 패키지로 요약된 다수의 입법안으로 주로 에너지 연합의 통제, 전기시장 설계,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중국

환경개선 및 청정에너지 정책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국가 에너지 관리국은 석탄소비 제한, 저탄소 청정에너지 및 청정 난방 공급으로의 전환을 강조, 에너지부문 2018 작업 지침을 발표했다.

지구온도 2°C 이상 상승 억제 시나리오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1차 에너지 공급 중 풍력 및 태양광 발전 비중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2005년 대비 2025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6∼28% 감축하기로 했으나 그 이후의 감축 목표는 없는 상황이다. 해당 감축목표는 오바마 전 정부의 자발적 공약으로 현재 트럼프 정부는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를 결정했다.

정부는 RPS 정책 및 세계 풍력, 태양광 시설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재생에너지 운영 비용 감소로 재생에너지로의 국면 전환을 고려 중이다.

 

▲독일

‘Energiewende’ 산업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방지, 원자력발전 위험 회피, 에너지 안보 개선, 경제 성장의 목표를 설정했다. ‘Energiewende’는 에너지와 경제의 모든 부분을 포괄하는 통합 정책 프레임 워크로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재생에너지 개발, 원자력 발전 폐지,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덴마크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줄이고 경제는 성장시키는 경향의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보이고 있다.

199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5% 미만이었으나 2016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60%에 육박하고 있다.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42%), 석탄, 천연가스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 전환(14%)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부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의 비중을 50%까지 증대시키기 위해 TSO(Transmission System Operator)를 통한 다양한 시스템 솔루션을 구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전력 생산량 예측 및 계획, 발전소 백업 용량 조정, 국내 송전 그리드 개선 및 국가 간 인터 커넥터 개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