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전기차 경쟁력 강화…차세대 배터리 개발 필요
[초점] 전기차 경쟁력 강화…차세대 배터리 개발 필요
  • 조남준 기자
  • cnj@energydaily.co.kr
  • 승인 2019.02.21 2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고체 전지 등 시장 변화 대응…생태계 조성・전문 R&D 인력 확보해야
한국경제연구원 ‘전기차 시대,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정책 과제’
전기버스 충전을 하고 있는 모습(자료사진)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국내 전기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및 기술 혁신을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문 R&D 인력 확보가 병행돼야 할 것으로 제시됐다.

특히 배터리 원자재 확보를 위한 기업의 해외투자 지원 및 자원 외교 추진을 검토해야 하며, 세제 지원 및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이 시급할 것이란 주장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전기차 시대,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파리기후협약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수소전지차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생산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차 시장은 2017년 기준 310만 대가 보급됐으며, 2040년에는 신차 판매의 55%, 전체 자동차의 33.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성장도 가파르다.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 기업이 배터리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하락하고 있다.

중국의 자국 산업 보호정책과 가격경쟁력, 일본의 기술 경쟁력 사이에서 고전을 겪고 있는 국내 업계가 향후 배터리 시장의 공급 확대와 기술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산업 경쟁력 강화가 필수라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더구나 중국과 일본 등은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도요타가 2011년부터 도쿄공업대와 리튬황 전고체 전지 개발을 추진, 2021년 양산계획을 발표했으며, 오랜 기간 기술개발을 추진해오면서 일본 내 전고체 전지의 산업 생태계도 잘 조성돼 있다.

중국은 올해 11월, 칭다오에너지가 세계 최초로 전고체 전지 양산라인을 구축해 2021년 양산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며 배터리 기술 선점에 나서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25년에 전고체 전지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에 시장주도권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는 빠른 기술추격이 필요하며, 기술 혁신을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문 R&D인력 확보도 병행돼야 할 것이란 주장이다.

특히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 계획을 발표한 중국과 일본 등을 따라잡기 위해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기술 혁신을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전문 R&D 인력 확보가 병행돼야 한다.

또한 배터리 업계의 수익성 향상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재료 수급이 안정돼야 하므로 기업의 해외투자 지원 및 자원 외교 추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세제 지원 및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인센티브를 강화해 국내 전기차 시장을 촉진함으로써 배터리 및 연관 산업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보고서의 요지다.

보고서는 또 전문가들은 전기차 배터리시장 전망과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10점 척도 기준 각각 8.96, 8.52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한·중·일간 산업 경쟁력 종합 비교에서는 한국이 가장 취약하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국내 배터리 산업 개선과제로 부품소재 기술투자 확대(37.3%)와 핵심재료 안정적 확보(22.7%), 제도적 지원 강화(21.3%)가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따라서 배터리 생산설비를 확충하는 등 내 배터리 업계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2020년 이후 글로벌 배터리 업계의 공급량 확대와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전지 출시 등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일본과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란 주장이다.

보고서는 또 재료 수급 안정 지원을 통한 배터리 업계의 수익성 강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코발트와 리튬 가격은 급등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어 배터리 핵심재료의 가격변동성이 제조사 수익성 개선에 불안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기업의 해외투자 지원 및 자원 외교 추진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특히 전기차 수요 증가, 전고체 전지 개발 등 향후 리튬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을 감안하면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 핵심 재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내수시장 확대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세제 지원, 인센티브 확대, 충전 인프라 확충 등 국내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사업 환경 및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또 정부는 2020년까지 전기차 25만 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 추세로는 달성이 어렵다면서 공공부문에서 전기차 구매를 확대하고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민간 기업이 수익성을 낼 수 있는 산업 생태계와 인프라 조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미국 연방정부와 지자체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차 인프라 구매비용을 낮추기 위해 전기차 합동 구매 추진, 공무원 대상 전기차 혜택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것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 미국 에너지부는 ‘Workplace Charging Challenge’ 프로그램을 통해 약 350개의 산·학·연이 참여하는 ‘주거지 및 직장 내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며, 충전인프라 확대를 위해 충전시설이 설치된 건물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