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칼럼] 파국으로 치닫는 '탈원전', 지금이라도 되돌려야 한다
[E·D칼럼] 파국으로 치닫는 '탈원전', 지금이라도 되돌려야 한다
  • 에너지데일리
  • webmaster@energydaily.co.kr
  • 승인 2020.12.04 0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균렬 /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지난 130만 년 빙하기를 넘나들며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 100만분의 175에서 275 사이(175~275ppm)를 오갔다. 1958년부터 탄소 농도는 하와이섬 마우나로아 관측소가 길라잡이하고 있다. 1800년 275ppm을 기점으로 고도화하는 산업 활동은 탄소 농도를 가파르게 올리고 있다.

올해 11월29일 지구 평균 탄소 농도는 416ppm으로 지난해 같은 날 411ppm보다 다섯 개 늘었다. 얼마 되지 않아 보이지만 탄소는 메탄, 질산, 증기와 함께 대기를 덥히는 주범이다. 400ppm은 기후변화에 맞서는 마지노선이다. 이를 넘기면 기후 협약이 제시한 기온 증가 상한치 1.5℃를 맞출 수 없고 지구 생태계가 어떻게 무너져내릴지 아무도 모른다.

2014년 독도에서 측정한 탄소 연평균 농도는 403ppm으로 당시 마우나로아보다 3ppm 높았다. 한반도는 물론 지구촌은 루비콘강을 이미 6년 전에 건너버린 것이다. 1958년부터 현재까지 탄소 측청치를 수식화하면 연간 2.22%의 기하급수로 올라가 2050년이면 산업혁명 이전의 두 배에 이르게 된다.

불행히도 오늘부터 당장 배출하는 탄소를 전량 포집하더라도 대기 중 농도는 바로 떨어지지 않고 100년에서 1000년에 걸쳐 서서히 줄어든다. 현실적으로 화석연료에 중독된 현대사회가 내일부터 전량 청정연료로 바꿀 수도 없는 일이다. 탄소는 1800년 당시만 해도 배출되는 만큼 제거되는 지구촌 중립에 있었다, 그 후 화석연료에 스며있던 탄소가 보태지지 않았다면 대기권은 여전히 평형을 이뤘을 것이다.

올해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창궐하는데도 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의아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탄소는 쓰레기처럼 나오는 대로 쌓여만 간다. 조금 줄기는 했겠지만, 마우나로아 관측치를 바꿀 정도는 아니었던 것이다. 세계 탄소 배출 중 중국이 26% 책임이 있으며, 미국이 14%, 유럽이 9%, 인도가 7% 순이다.

탄소중립은 한반도뿐만이 아닌 지구촌 차원의 과업이다. 한국도 이들 나라와 발맞춰 신재생과 함께 원자력을 하지 않으면 탈탄소 사회를 이룰 수 없다. 더는 천연가스 포함 화석연료를 때우고 있을 경제적 사치도, 시간적 여유도 없다. 화석연료를 탄소포집으로 수습하기엔 만시지탄(晩時之歎), 파국으로 치닫는 탈원전을 지금이라도 되돌려야 한다. 현재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여수투수(如水投水) 선언으로는 화석연료를 끊을 수도, 탄소중립을 이룰 수도 없다.

원자력은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기를 만들고, 신재생의 간헐성을 메울 수 있다. 두산중공업은 미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차세대 뉴스케일파워의 소형원자로 사업에 4000만 달러 지분 참여를 결정했고, 12억 달러 납품 계약을 따냈다. 두산중공업이 공급할 원자로는 국가 보안 핵심 설비다. 미 정부가 직접 나서 자국의 차세대 원자로 사업에 두산중공업을 참여시킨 것이다.

지난달 롤스로이스가 이끄는 합작사가 영국 내 16기의 소형원전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5년간 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경기 부양을 위한 친환경 사업의 일환으로 3000억 원을 부어 넣을 것으로 알려졌다. 롤스로이스는 저탄소 전력 생산은 물론, 수출 산업으로 키워갈 계획이다. 기후변화 대책으로 영국이 2050년까지 탈탄소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한국은 미국이나 영국을 뛰어넘는 원자력 대국이다. 이들이 풍력과 태양이 없어서 원전을 하는가? 그런데도 한국은 탈원전 정책으로 탈탄소 시장을 주도할 기회를 날릴 판이다. 국가가 머뭇거리니 국민이 나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