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필요한 건 뭐? 사명감!
진단, 필요한 건 뭐? 사명감!
  • 유은영 기자
  • apple@energydaily.co.kr
  • 승인 2008.11.28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이앤아텍 서주원 대표, 돈벌이 수단 접근하면 무용론 대두될 것

"에너지진단의 필요성을 인식시키지 않고 '돈벌이' 수단으로만 여긴다면 결국엔 진단 무용론이 대두될 것입니다"

이제 진단기관으로 정식등록된 지 1년을 맞은 (주)이앤아텍 서주원 대표<사진>는 덤핑으로 얼룩진 진단기관 업계에 일침을 가했다.

현재 진단기관으로 등록된 업체는 모두 51개. 지난해 1월 도입된 이 제도는 이제 시행 2년을 채워가고 있다. 맨 처음 30개의 진단기관들이 출발선을 끊기도 전에 업계에서는 벌써 덤핑에 대한 우려가 팽배해 있었다. 그 우려는 한 치도 빗나가지 않아 자율시장경쟁 체제 하에 맡겨 두자는 정부의 의도에 따라 지정기관 수는 점차 늘어 '난립'으로 인한 품질저하의 길로 들어선지 오래다.

"에너지다소비 산업체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켜 국가 전체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자는 진단제도의 본래 취지가 진단업계의 장삿속으로 무색해졌습니다"

물량은 정해져 있는데 진단기관은 많아지다 보니 수주에 급급해진 기관들이 덤핑을 남발해 결국 진단은 대충 시늉만 낸 저급상품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서 대표는 "장삿속으로 사업을 시작하면 100% 부실진단이 나온다"고 거듭 강조하며 일전 사장단 회의에서 보고된 열 정산조차 하지 않고 진단보고서를 낸 사례를 들며 심각성이 극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한국코드'의 진단을 수행하면서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보통 진단대상업체의 태도는 두 가지로 나뉜다. 에너지진단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그저 의무이니 어쩔 수 없이 수행하면서 문제점을 감춰달라고 요구하는 형과 어떻게든 절감방법을 찾아서 제시해 달라는 정책부합형이 그것이다.

이 회사는 섬유회사로 두 번째에 해당했다. 40대의 젊은 사장은 고유가로 인해 에너지절약의 필요성을 절감한다면서 에너지의 새는 틈을 찾아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이에 서 대표는 섬유회사의 특성상 천정에 조명기구가 빽빽이 들어차 있는 것에 착안, 채광을 개선하자고 제안했다. 채광개선과 함께 자연환기까지 해결해 주는 대안을 제시하자 그 사장은 "연간 100억원이 넘게 전기요금이 들어가는데도 이런 얘기를 절친한 누구한테서도 들은 적이 없다"며 감격해 했다는 것.

"그 사장은 진단보고서를 제안하면 반드시 실행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에너지절약 방법을 찾는 것이 아주 단순한 것 같지만 먹고사는 일에만 신경쓰다보면 놓치기 쉽지요. 하지만 이렇게 해야 진단의 본래 취지가 이루어지는 겁니다."

또 하나 서 대표가 우수 진단사례로 내세운 것은 '하이트주정'이다. 이곳은 술을 만드는 특성상 스팀사용료가 연 70~80억씩 들어간다는 문제점을 찾아내 연 7억1700만원을 아끼게 해 줬다고 한다.

수증기 증류를 진공 증류로 가열방식을 바꿔서 말이다. 방식전환에 투자비 10억이 들지만 절감비가 7억이므로 회수되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

2개 팀에 진단사가 7명인 이앤아텍은 올 한 해 동안 9건의 진단을 수행했다. 내년에는 정부정책에 맞추어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여기에 이앤아텍의 특이점은 다른 진단기관과 달리 이직률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진단사 자격시험이 연 2회로 늘어날 만큼 진단수요가 폭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능수능란한 일처리가 돋보이는 경륜 있는 진단사를 배출하기에는 진단제도의 역사가 짧다는 데 그 이유가 있다.

서 대표는 진단이 제도화 되기 훨씬 이전부터 에너지관리공단 신입사원 실무교육을 담당할 만큼 이 분야 실력자다. 이앤아텍 설립 전 다른 회사에 몸담고 있을 때에는 ESCO협회 진단분과 위원장으로써 진단기관 CEO와 실무담당자 교육을 전담했다. 제대로 된 진단사라는 인정을 받으려면 실무경험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경험 풍부한 서 대표에게서 노하우를 전수받으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무엇보다 사명감을 가져야 합니다."

진단기관 난립으로 지난해처럼 하반기에 물량이 몰리는 일도 없을 거라는 서 대표는 진단 수행자들이 원칙만 지킨다면 진단제도 자체가 사라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