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 방폭전기설비, 업계의 현안과 대응방안
특별기고 - 방폭전기설비, 업계의 현안과 대응방안
  • 에너지데일리
  • webmaster@energydaily.co.kr
  • 승인 2001.06.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산업안전공단 류보혁 기술위원

방폭전기설비는 인화성 액체, 가연성 가스 또는 분진 등을 사용하거나 취급하는 공정에서 전기에너지로 인한 화재폭발을 방지키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적용되야 하지만 이 제품에 대한 세계 무역 또는 경제발전을 전적으로 무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방폭설비의 제조, 시험, 설치 등에 관한 규격이 일부 몇 나라의 기술이나 경제수준에 따라 임의로 정해지거나 안전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경제성이 무시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러한 규격은 국제적으로 공감대를 이루기 위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방폭전기기술위원회(TC31)에서 국제 간의 토론 및 투표를 거쳐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국제규격 제정회의에서는 각 나라의 전문가 또는 업계의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해 자국 또는 자사기술을 국제규격화해 기술을 선점하려는 노력이 치열해 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기술수준이나 축적면에서 아직은 미흡한 점이 많으므로, 당분간은 기술 선진국의 기술을 조기에 입수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선진국의 수준에 접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물론 공공기관에서도 우리나라 업체가 발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이번 IEC/TC31 회의의 국내개최와 방폭분야 IEC 규격의 KS규격화 등은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방폭전기설비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제품의 기술수준 및 보급은 전반적으로는 후진국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일부 제조 업체의 경우,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등기구와 일부 스위치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내압방폭구조, 본질안전설비는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방폭설비 사용업체의 경우 아직도 국산품보다는 수입품을 선호하고 있고, 이들 수입품에 대한 국내 인증면제를 강력히 주장해, 그렇지 않아도 협소한 국내시장에의 국내업체 진입을 억제하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우리의 기술이 향상된다면 모두 해소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설계기술은 설사 미흡하다 하더라도 제조기술은 선진국 수준에 와 있으므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IEC 규격의 KS규격화가 이루어지고, 제조업체에서는 기술개발을 서둘러 KS규격, 즉 IEC규격에 적합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과감한 투자와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적인 문제점 및 제조업체의 영세성 등으로 인하여 수출은 막고 수입은 풀어놓은 상태에서 불공정 상거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만약 설계기술을 습득한다면 우리의 뛰어난 제조기술로 저렴한 가격의 우수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며, 국내외에 시장을 개척하여 수입은 줄이고 수출은 늘릴 수 있는 시기가 바로 이때라고 생각된다.

지난 99년 말에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우리나라를 대표하여 IECEx Scheme에 가입하고, 2000년 초에는 국제인증서를 발행할 수 있는 인증기관(ACB) 및 시험소(ExTL)에 대한 지정을 IECEx MC로부터 받았다.

지금까지는 방폭설비를 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최장 6개월 이상의 인증기간과 수천만원이 소요되는 비용으로 인하여 수출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나, 안전공단에서 발행되는 인증서는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것으로써, 수출업체 측면에서 보면 인증기간 및 비용을 최고 1/5∼1/10까지 줄일 수 있는 체제가 갖추어진 것이다.

또한, 금번 IEC/TC31회의 개최는 기술선진국에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업체 측면에서 보면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과의 만남의 자리가 마련된 것이었다.

따라서, 방폭관련 KS규격의 국제화, 국제인증서의 국내 발행 및 방폭전문업체의 견문 확대 등의 기회를 호기로 해 이제는 제조업체 스스로가 국제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장단기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기술 선진 업체와 기술협력 등을 통해 기술발전을 꾀하고 제조기술 향상시키는 동시에 정부 또는 안전공단 등과 같은 인증기관과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등의 기술개발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기술개발, 기술협력 등 모든 것은 필수인력이 뒤따라야 하므로 인력양상을 위한 과감한 투자가 반드시 전제돼야 할 것이다.

따라서, 외국어 능통자, 많은 현장 경험과 기술을 보유한 기술인력을 양성해, 선진국에 끌려 갔던 국내수준을 앞으로 5년 또는 10년 후에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