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서 '태양광' 미래 가능성 제시 '관심'
다보스서 '태양광' 미래 가능성 제시 '관심'
  • 최일관 기자
  • apple@energydaily.co.kr
  • 승인 2014.01.23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화그룹, 에너지분야 지속 투자… 포럼 태양광 설비도 화제

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일정으로 스위스 다보스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44차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다보스포럼)에서 한화그룹이 미래성장동력으로서의 태양광 사업을 집중 홍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화그룹에서는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큐셀 전략마케팅실장을 비롯해 차남규 한화생명 대표이사, 방한홍 한화케미칼 대표이사, 김희철 한화큐셀 대표이사, 김민정 한화갤러리아 상무 등 5명이 다보스포럼을 찾았다.

▲ 한화그룹이 설치한 다보스포럼 콩그레스센터(Davos Congress Centre) 지붕의 태양광발전설비
이들은 이번 다보스포럼을 통해 태양광을 비롯한 에너지 업계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금융·에너지 기업 CEO들과 잇따라 면담하는 등 전세계 정·재계 인사들과 친분을 구축하며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화그룹이 주력하고 있는 태양광사업을 홍보하고, 태양광 사업의 미래 가능성을 알리는 장으로 다보스포럼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화그룹의 태양광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김희철 한화큐셀 대표이사는 "현재 유럽·일본·중국·미국 등이 태양광 4대 시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 시장을 중심으로 올해는 작년보다 20% 이상 성장한 40~45GW의 태양광 모듈이 설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태양광 시장의 성장세를 전망했다.

김 대표는 특히 중국과 일본 태양광 시장의 높은 성장세에 주목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에서는 원전의 비중을 줄이고 태양광을 확대하고 있으며, 공기오염이 심각한 중국은 석탄 사용을 줄이는 대안으로 태양광을 적극 채택하려는 정책을 펴고 있다는 것. 중국의 경우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매년 20GW 이상의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 2020년에는 150GW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설치완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희철 대표는 "태양광은 도심과 가정에 분산형으로 설치가 가능해 초대형 발전소를 짓기 위해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이나 송배전시설 설치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라며, 한국에서 원전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태양광의 가능성도 제시했다.

김동관 한화큐셀 전략마케팅실장은 "한화그룹은 태양광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태양광을 통해 '인류의 미래에 이바지'하겠다는 김승연 회장의 확고한 철학에 따라 앞으로도 태양광 등 에너지 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라며 "단순한 태양광 관련(셀·모듈)제조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소까지 운영·투자하면 태양광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그룹은 이러한 전략에 따라 태양광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한화큐셀의 경우 지난해 12월 말레이시아 사이버자야에 위치한 공장에 200MW 규모의 셀 생산라인 증설에 돌입했다. 현재 한화큐셀은 독일에 200MW, 말레이시아에 900MW의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 200MW 증설이 완료되고 본격적으로 가동이 예상되는 2014년 하반기가 되면 한화큐셀의 셀 생산능력은 총 1.3GW가 된다.

이같은 과정에서 한화그룹이 기증·설치한 다보스포럼 콩그레스센터(Davos Congress Centre) 지붕의 태양광발전설비도 화제가 되고 있다.

김동관 전략마케팅실장은 2012년 다보스포럼 현장에서 전세계 친환경 녹색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다보스시와 다보스포럼의 친환경 정신에 동참한다는 취지로 태양광 모듈 기증을 제안했고, 지난해 12월 280kW의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를 통해 결실을 맺은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