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연료선 전환 촉진 1조원 규모 신시장 창출 추진
LNG연료선 전환 촉진 1조원 규모 신시장 창출 추진
  • 조남준 기자
  • cnj@energydaily.co.kr
  • 승인 2018.11.22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2025년 총 140척 LNG연료선 발주
LNG연료선 적합선종 해당 공공기관 관공선 발주 의무화 추진
고부가가치 수소선박 및 자율운항선박 개발 등 미래경쟁력 제고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선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선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정부가 내년 선가 보조를 통해 미세먼지 배출이 큰 예인선 2척을 LNG연료선으로 전환하는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총 140척의 LNG연료선을 발주해 중소조선사 대상 1조원 규모의 신시장 창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부터 LNG연료선 적합선종에 해당하는 관공선은 2020년부터 LNG연료선으로 발주 의무화를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정부는 22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조정점검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해수부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큰 예인선 2척을 대상으로 내년 선가 보조를 통한 LNG연료추진 전환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아울러 공공에서 선제적으로 LNG 등 친환경연료 선박 도입하고, 환경 전환 지원 등을 통해 민간분야로 확대(하는 등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140척의 LNG연료선을 발주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올해 안에 LNG연료추진 적합선종 지정을 추진하고, 민간의 도입 확대를 위해 노후선의 폐선을 통한 LNG연료선으로 전환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2020년 이후 적합선종 공공발주시 LNG 등 친환경연료선박으로 발주 의무화를 검토해 2020~2025년까지 40척 이상발주를 목표로 한다.

노후 선박의 단계적 폐선 및 LNG연료선으로 신규 건조도 추진한다.

또한 내년 해수부를 중심으로 관공선 선령 적정성 연구용역을 통해 선종별 폐선 적정시기를 도출한다. 구체적인 보급계획은 관계부처 합동 ‘관공선의 폐선·신조 등 중장기 수급계획’마련을 통해 내년 안에 수립한다.

선령 25년 이상 노후선박을 대체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LNG연료선으로 100척을 전환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화주 및 금융기관 등과 협의를 통해 다양한 선종의 LNG연료추진선 발주 지원도 지속 추진한다.

또한 조선·해운 대책발표(4월) 이후 LNG연료선으로 포스코 벌크선(18만톤급) 기발주, 남동발전 벌크선(9만톤급) 발주예정, 현대상선 컨테이너선(20척) LNG Ready선 발주와 함께 연안여객선 이차보전 사업 및 현대화 펀드 등 친환경선 발주 지원 예산 확대도 추진한다. 아울러 연안선박 이차보전 사업으로 내년 108억원, 연안여객선 현대화 펀드 250억원을 조성한다.

설비는 이차보전(2%p) 등을 통해 탈황설비 등 내년 40억원을 투입해 61척에 대한 친환경 설비 설치를 지원한다.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의 경우 배기가스정화정치 설치에 60억원 정도 소요된다.

이를 통해 신조선 중 친환경 연료 비중을 2025년 45%, 2030년 98%로 확대한다.

특히 LNG는 중대형선박 중심으로 확대해 2025년 38%, 2030년 55%로 확대하는 한편 전기는 소형선박 중심으 2025년 6%, 2030년 11%로 확대키로 했다. 수소는 2025년 이후 상용화를 거처 2030년 32%로 확대한다.

아울러, LNG연료선박 확대에 맞춰 2025년까지 민․관이 2조8000억원을 투입해 연료공급(벙커링) 인프라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건조되는 1척의 벙커링선박 외 4척의 선박·설비를 순차적으로 발주하는 한편, 배후 인프라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가스공사는 LNG선 겸용 벙커링선(7500㎥) 1척을 내년말 인도를 목표로 건조 중이다. 또한 발주안은 내년 벙커링선 1척(6000㎥) 및 해상부유식 저장설비(FLBT) 1기, 2023년 벙커링선 1척(3000㎥) 및 선적설비 1기를 발주한다.

LNG벙커링은 터미널, 차량, 선박을 활용하는 방식이 존재, 이중 선박 활용 방식(Ship-to-Ship)이 대용량 급속충전이 가능하고 선박접근성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LNG벙커링을 별도의 사업 영역으로 분리, LNG 조달 및 가격 규제를 완화, 사업자 간 거래 허용하는 등 ‘도시가스사업법’개정을 통해 별도의 LNG벙커링 비규제시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특히 LNG 연료주입을 위한 선도적 LNG벙커링 투자로 2019년 30만톤, 2022년 70만톤, 2030년 130만 톤 등 단계적 공급능력을 확보한다. 또한 2025년까지 벙커링선 3000억원, 배후 인프라인 부산항 1조 5000억원, 울산항 7000억원, 광양·인천·평택항 3000억원 등 LNG 벙커링 관련, 총 2조 8000억원 규모의 민관 투자가 이뤄진다.

정부와 가스공사는 초기 투자비 과다에 따라 2022년부터 나타날 공급능력 과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LNG 벙커링선 4척을 순차적으로 발주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중소형 LNG연료추진선 최적설계, 기자재 등에 대한 기술개발을 조기완료해 보급·확산시 적용한다. 이를 위해 중소형 LNG연료추진선 설계기술 개발(‘18년), 중소선박용 LNG연료선 엔진개발(‘19년), 중소선박용 LNG연료탱크 기술개발(’19년) 등을 추진한다.

또한 해수부는 노후선의 친환경선박 전환 사업의 지원 대상 선정시 실증대상 기자재를 탑재하는 선박을 우대키로 했다. 사업 신청 시 실증 대상 국・내외 기자재 목록 중 탑재할 기자재를 선정해 제출할 경우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수소·전기는 IMO 환경규제 강화추세에 따라 산업부를 중심으로 수소, 전기 등 新연료 선박에 대한 선제적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시장 선점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 IMO는 지난 4월 탈탄소화를 목표로 2008년 대비 탄소배출을 2030년 40%, 2050년까지 70%감축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특히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수소경제사회로의 진입을 위해 2019년부터 수소 선박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2023년까지 총 420억원을 투입해 ‘수소연료 기반 선박 R&D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을 통해 수소 저장·공급 등 기존 요소기술의 선박 선 적용도 추진한다.

2030년 핵심 기술 100% 국산화 및 2035년 대형 Zero Emission 선박 건조를 목표로 최적선형, 추진시스템, 경량구조, 기자재 등 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온실가스저감 미래선박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내년 상반기 6000억원의 예타신청을 할 계획이다.

기자재 실증을 위한 기반 설비로서 산업부는 관공선 중심의 기자재 실증선을 2025년까지 3척 확보를 추진한다.

아울러, 자율운항선박 기자재·시스템 기술개발, 실증 및 인프라 구축 추진(19.2월 예타신청)등을 통해 다가오는 자율운항 시대를 준비해 나간다.

이외에 전기충전은 부산, 인천, 광양 등 주요 컨테이너 부두 중심 ‘AMP(육상전력공급장치)구축 시범사업’ 시행 후(’18~’19년) 전국 무역항으로 확대를 추진한다. 향후 전기추진선 확대시 AMP를 전기 충전설비로 활용한다.

정부는 이러한 정책의 연장선에서 조선산업의 친환경 체제 전환을 촉진하고, LNG연료선 등 친환경 기술 확보 및 관련 시장 창출을 통해 향후 미래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명칭 : (주)에너지데일리
  • (우)07220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8길 13-7 주영빌딩 302호
  • 대표전화 : 02-2068-4573
  • 팩스 : 02-2068-45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병훈
  • 제호 : 에너지데일리
  • 신문등록번호 : 서울 다 06719
  • 등록일 : 1999-07-29
  • 인터넷등록번호 : 서울 아 01975
  • 등록일 : 2012-02-16
  • 발행일 : 1999-09-20
  • 발행인 : 양미애
  • 편집인 : 조남준
  • 에너지데일리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에너지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ergydaily.co.kr
ND소프트